본문 바로가기
shower visit

일희일비 안 하지 말자

by 고이난 2021. 1. 29.

얼마 전 꾸준히 진행해왔던 연구 논문이 거듭 저널들에 리젝을 먹는 경험을 했다. 리젝을 받은 것보다도 몇몇 엄한 부정적인 리뷰들이 큰 충격을 주었다. 이렇게나 리젝을 당하는 논문을 내는게 과연 맞는 일이기는 한 걸까, 두렵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억울하기도 했다. 데이터를 가지고 사기를 친 것은 아닌데. 데스크 리젝을 받은 건 왜 리젝 당했는지 알 길도 없다. 심각한 무기력감에 빠지기 일보 직전이었다.

 

그런데 글을 쓰고 다시 자기를 차츰 돌아보기로 다짐하면서, 이상하게 자유 시간은 사라져갔지만 논문 자체에 힘을 들이는 시간은 늘어났다. 예컨대 이전 포스팅에 오늘 귀중한 1시간을 사용해버렸다. 그러나 그 이후로 짧은 연구 회의, 리젝 먹은 나의 작고 소중한 개냥이 논문 재(재재재재) 수정, 그리고 또다시 막 내려고 하는 참인 논문에 대한 재(재재재재) 수정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 늦은 시각까지 지루하거나 지칠 틈 없이 뭔가에 홀린 듯 논문을 계속 수정해나갔다. 

 

다만 논문을 수정할 때 달라진 점이 있다면, 논문을 쓰는 것이 아닌 마치 지금 쓰는 것과 같은 글을 쓰고 있는 느낌을 받았다는 점. 블로그 한 지 얼마나 되었다고 벌써 변화가 있겠냐만, 적어도 느낌은 그렇다. 뭔가 익명의 독자에게 설명하듯논문을 쓰고 싶어졌다. 단 한 사람이라도 이 글을 읽는 사람이 설득될 수 있도록. 내용과 분석 결과 면에서 당연히 크게 달라지는 점은 없다. 그러나 "읽었을 때 말이 되게" 쓰고 싶어졌다. 생각해보면 엄청 당연한건데. 그 마음으로 힘을 더 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씻고 자려는데 일련의 달라진 마음가짐을 보며 "일희일비 하지 말아야지"라는 생각을 잠깐 했다 바로 고쳐먹었다. 가끔 일희일비하지 말라고 따끔한 말을 주고받을 때가 있는데, 이제와서 보니 너무 모진 말 같다. 순간의 감정에 휘둘리지 말라는 말을, 그냥 매 순간의 감정에 솔직하지 말라는 말을 그럴듯하게 포장해서 충고하는 말 같다. 아니, 그 때의 그 감정은 "진짜"인데, 그걸 내색하지 말라니. 그리고 그런 말을 스스로에게 되뇌이다니! 스스로야말로 그 때 그 때의 자신의 감정을 느끼는 바로 그 당사자인데. 이게 무슨 일이람.

 

그래서 다시 컴퓨터에 앉아서 이 글을 쓴다. 앞으로는 졸라 일희일비해야지. 그런데 일희일비 할 때마다 옆에서 웃상 울상 해주는 친구 한 명만 있으면 좋겠다. 그 친구가 받아주느라 지칠게 무섭다면 나도 받아줘야지. 생각해보니 나는 일희일비를 잘 받아줬던 사람이었나?

댓글